본문 바로가기
나만 모르는 핫이슈

광역 교통, 버스 정책 방향 주요내용

by 자유로운나비 2022. 6. 19.

정부는 지하철이 없거나 아직 완공되지 않아 교통 혼잡 그리고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광역교통, 광역버스 정책 방향을 전달했습니다. 오늘은 광역교육, 버스 정책 방향에 대한 주요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광역 교통, 버스 정책 방향

 

1. 수도권 광역교통 사각지대에 광역버스 노선 신속하게 확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지하철이 없거나 아직 완공되지 않은 지역 등 수도권 광역교통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하여 해당 지역을 중심으로 연간 10~15개의 광역버스 노선을 신속하게 신설함으로써 촘촘한 광역교통망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또한 광역버스 국가 사무 전환계획에 ㄸ라 경기도 광역버스 전체 노선을 2025년까지 대광위로 이관하고, 준공영제를 통해 엄격하게 관리하여 배차간격 준수 등 광역버스가 안정적으로 운행되도록 할 계획입니다. 

 

광역교통,버스

 

2. 수요대응형 광역교통 서비스 확대

출퇴근 시간에 집중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광역버스 노선에 투입 중인 전세버스를 지속 확대할 예정이며, 작년 기준 하루 135대에서 올해 7월부터 180대로 확대되어 평균 배차간격이 20% 이상 단축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집중되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대규모 인원이 탑승할 수 있는 저상형 2층 광역 전기버스를 지속 확대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입석 운행과 무정차 통과를 줄이고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를 개선할 예정입니다. 

 

 

3. 광역버스 환승 정류소 설치 및 시설개선으로 환승 편의 대폭 개선

수도권을 비롯한 전국 주요 환승 거점에 광역버스 환승시설을 설치하고 노후화된 환승시설을 지속 개선하여 광역버스 환승이 더욱 편리하고 안전해지도록 바꿔 나갈 계획입니다. 

 

 

4. 광역버스의 친환경 차량 전환으로 지속 가능한 광역교통체계 구축

CNG, 경유 등 대부분 화석연료로 운행되고 있는 광역버스를 수소버스나 전기버스와 같은 친환경 차량으로 전환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대폭 절감하고 탄소중립 실현에 이바지할 계획입니다. 

 

 

5. 운행지역 확대 등 관역버스 서비스의 저변 확대

광역버스 신설 거리 제한 규정을 완화하는 여객법 시행규칙 개정에 따라 그동안 신설이 어려웠던 안성, 평택, 여주 등에 광역버스 신설이 가능해졌으며, 지자체 수요조사를 거쳐 연내 노선 신설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또한 광역버스 노선의 소도권 편증을 완화하고 지방대도시권 내 주요 거점 간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산, 울산권, 대구권, 광주권, 대전권 등 지방 대도시 권역별로 각 1개 이상의 M버스 노선을 연내 신설할 계획입니다. 

 

 

** 위 내용은 국토교통부 홈페이지 보도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댓글